'영어점수 없으시네요.'
'예! 저는 영어공부는 하지 않았지만 전공교육과 함께
봉사활동도 많이 하고...'
'아니요. 됐습니다.'
끊어버리는 인사담당자. 그리고 어떤 누구도 나한테
말을 걸지 않았다.
이런 경험을 안해본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왜 영어를 해야 될까?
나는 한국에서 외국인들을 상대하는 일을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한국인 마케팅쪽으로 하고 싶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그들은 나에게 영어를 물었다.
영어점수가 왜 없냐고.
정확히 이야기해서 나는 영어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냥 단순하게 이야기해서 내 전공분야에 충실하면 될 것이라
생각했고, 봉사활동도 하면서
속히 사회가 이야기했었던 사람.
전공에 충실한자. 리더쉽이 있는 자. 봉사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
그 사람에 충실한 사람에 맞춰서 살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게 왠걸.
어이가 없었다.
요근래 이력서를 쓰면서 나는 속았다는 것을 느꼈다.
이력서에서는 위에 3가지의 조건은
학벌란을 통과를 하고 그 다음에 영어점수를 가지고 있어야지
쓸 수 있는 양식일 뿐이었다.
이미 경쟁은 우리나라 사회에서 속히 이야기하는 스카이 대학을 나오지 않는 한은
절대로 봐주질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몇명 지방대생들이 대기업을 취업하는 것들이 나온다,
그런데 묻고 싶다. 왜 그런 사실이 뉴스로 나와야 되나.
그 사실이 그렇게 특이한 일인가?
스카이 대학을 나온 사람은 일명 대학을 가면 어느 정도 사회에서
정해진 앨리트 코스로 간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스카이대학을 나오지 못한 사람은
그들에게 이기기 위해서 더 많은 노력을 해야 되며
혹은 편입으로써 사회에서 보는 눈높이에 맞춰야 된다,
그것이 대한민국인 것이다,
그런데 더 웃긴 것은 더더욱 이명박 정부 들어서
학벌과 함께 영어가 없으면
아예 좋은 직장은 쳐다보지도 못한다.
그러다보니 어학연수는 예전에는 속히 산다는 사람들이
가는 코스였지만 이제는 안 가는 것이 세상물정 모르는 젊은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정도가 되었다.
하지만 나도 그랬지만 돈이 없다.
어학연수를 할 정도의 자본금은 없는 것이다
그러다가 워킹의 유혹에 빠진다.
일하면서 영어를 배울 수 있다는 그 유혹에 빠진다.
그리고 가는 것이다, 미래를 보장을 해주지 않고
젊은이 누구나 갈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고
대한민국 젊은이들을 가라고 떠민다,.
이것이 바로 대한민국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이들이 영어를 위해서
워킹을 간다.
이야기해보겠다,
한국에서 일을 하면서 영어공부를 하는 것.
어렵지 않는가? 그런데 왜 외국에 가면 영어가 될것이라
생각하는가?
그것은 착각이다.
믿고 싶은 착각일 뿐이다,
물론 그곳에서 일을 하면서 영어정복을 하는 사람들은
분명히 있다. 하지만 그 사람은 한국에서도 일을 하면서
영어정복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소수의 성공하는 워홀러들의 이야기에 공감하지 마라.,
년간 35000명의 사람들 중에서 어느 정도 사람들이
들어와서 영어정복을 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영어에 미친 나라.
대한민국에서 영어를 못한다는 이야기.
그 이야기는 대기업은 쳐다보지 말라는 이야기다.
나 역시 영어를 위해서 다시 간다,
정말 언어능력은 제로에 가깝지만 내가 잘하는 분야를
더 깊게 파지 못하고 나는 영어를 내 삶에 절반을 매달리는 것 같다,
그리고 취업이 되면 이제 영어는 안녕이겠지.
씁쓸해지는 하루다.
'예! 저는 영어공부는 하지 않았지만 전공교육과 함께
봉사활동도 많이 하고...'
'아니요. 됐습니다.'
끊어버리는 인사담당자. 그리고 어떤 누구도 나한테
말을 걸지 않았다.
이런 경험을 안해본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왜 영어를 해야 될까?
나는 한국에서 외국인들을 상대하는 일을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한국인 마케팅쪽으로 하고 싶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그들은 나에게 영어를 물었다.
영어점수가 왜 없냐고.
정확히 이야기해서 나는 영어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냥 단순하게 이야기해서 내 전공분야에 충실하면 될 것이라
생각했고, 봉사활동도 하면서
속히 사회가 이야기했었던 사람.
전공에 충실한자. 리더쉽이 있는 자. 봉사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
그 사람에 충실한 사람에 맞춰서 살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게 왠걸.
어이가 없었다.
요근래 이력서를 쓰면서 나는 속았다는 것을 느꼈다.
이력서에서는 위에 3가지의 조건은
학벌란을 통과를 하고 그 다음에 영어점수를 가지고 있어야지
쓸 수 있는 양식일 뿐이었다.
이미 경쟁은 우리나라 사회에서 속히 이야기하는 스카이 대학을 나오지 않는 한은
절대로 봐주질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몇명 지방대생들이 대기업을 취업하는 것들이 나온다,
그런데 묻고 싶다. 왜 그런 사실이 뉴스로 나와야 되나.
그 사실이 그렇게 특이한 일인가?
스카이 대학을 나온 사람은 일명 대학을 가면 어느 정도 사회에서
정해진 앨리트 코스로 간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스카이대학을 나오지 못한 사람은
그들에게 이기기 위해서 더 많은 노력을 해야 되며
혹은 편입으로써 사회에서 보는 눈높이에 맞춰야 된다,
그것이 대한민국인 것이다,
그런데 더 웃긴 것은 더더욱 이명박 정부 들어서
학벌과 함께 영어가 없으면
아예 좋은 직장은 쳐다보지도 못한다.
그러다보니 어학연수는 예전에는 속히 산다는 사람들이
가는 코스였지만 이제는 안 가는 것이 세상물정 모르는 젊은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정도가 되었다.
하지만 나도 그랬지만 돈이 없다.
어학연수를 할 정도의 자본금은 없는 것이다
그러다가 워킹의 유혹에 빠진다.
일하면서 영어를 배울 수 있다는 그 유혹에 빠진다.
그리고 가는 것이다, 미래를 보장을 해주지 않고
젊은이 누구나 갈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고
대한민국 젊은이들을 가라고 떠민다,.
이것이 바로 대한민국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이들이 영어를 위해서
워킹을 간다.
이야기해보겠다,
한국에서 일을 하면서 영어공부를 하는 것.
어렵지 않는가? 그런데 왜 외국에 가면 영어가 될것이라
생각하는가?
그것은 착각이다.
믿고 싶은 착각일 뿐이다,
물론 그곳에서 일을 하면서 영어정복을 하는 사람들은
분명히 있다. 하지만 그 사람은 한국에서도 일을 하면서
영어정복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소수의 성공하는 워홀러들의 이야기에 공감하지 마라.,
년간 35000명의 사람들 중에서 어느 정도 사람들이
들어와서 영어정복을 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영어에 미친 나라.
대한민국에서 영어를 못한다는 이야기.
그 이야기는 대기업은 쳐다보지 말라는 이야기다.
나 역시 영어를 위해서 다시 간다,
정말 언어능력은 제로에 가깝지만 내가 잘하는 분야를
더 깊게 파지 못하고 나는 영어를 내 삶에 절반을 매달리는 것 같다,
그리고 취업이 되면 이제 영어는 안녕이겠지.
씁쓸해지는 하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