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스꽝스러운 캐릭터.
뭐 이런 영화를 만들었나 싶었다.

솔직히 킬링타임용으로도 보기 싫었던 것이 사실이다.
마파도의 인기를 빌미로 만든 작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몇몇의 리뷰를 통해서
그냥 단순한 코미디 영화로 볼 영화는 아닌것 같았다.

그리고 보게 된 영화.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나오면서 약간의 찡한 느낌이 들었다.

할머니들이 은행강도에서 이야기하는 돈이
얼마였는가?
824만 7천원이었다.

그 돈의 의미는 무엇인가?
마지막 인생을 위해서 여행을 가기위한 돈이다.

그 할머니들이 왜 마지막에 강도를 할 수 밖에 없는가?
그것은 사회가 만들었다고밖에는 해석이 안된다.

할머니들의 일면을 보면 사회에 있어서
버림받은 사람들이다.
그리고 할머니들의 유일한 희망이었던 하와이 여행을
빼앗은 것은 간접적으로 사회다.


물론 말이 안되는 상황이기는 하다.
하지만 실제로 왜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끄덕였을까?

1시간 면담을 하는 데에도 10만원을 달라고 하는 변호사들의 모습을
보면서 오늘날 사회에서 서민들이 어떻게 억울한 일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경로잔치에서 노인들을 대하는 경찰들의 모습에서
약자한테는 강하고 강자한테는 약한 사회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서 씁쓸하기만 했다.


이 영화는 어찌보면 코미디영화라기 보다는 우리사회의
단면을 보여준 영화였다.

절대 웃을 수 밖에는 없는 영화.

아무리 영화라지만 노인이 강도로 갈 수 밖에는 없는 설정이
끄덕여지는 이 사회가 안타까울 뿐이다.



공감되시면 추천해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추천 가능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일반인의 시선

이 시대의 전문가들은 많다. 하지만 실상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주는 따뜻한 시선을 가진 사람은 드물다. 그러기에 나는 전문가가 되기를 거부한다 일반인의 시선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그런 글을 쓰고 싶다.

,